
‘무서운 요즘 애들’ 을 위한 변명
Comments : Off
내가 처음 부임했던 80년대의 아이들은 화나 짜증이 별로 없었다. 어른과 친구들을 생각할 줄 알고 온순하며, 다혈질이나 공격성이 적어 다투는 일도 없었다. 수업에 대한 집중력도 높아 한두 명 산만한 아이를 제외하고는 자기 마음을 주체 못 하는 아이도 거의 없었다.
그러나 요즘엔 매해 3월 학부모 총회 때마다 “요즘 아이들은~” 하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해가 갈수록 점점 정이 메말라 가고, 남을 생각하거나 배려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아진 것이다. 그런 아이들에게 마음수련 1, 2과정 방법을 해보게 했다.
공부에 대한 집착이나 부모, 친구에 대한 미움 등을 떠올려 그 마음을 빼게 한 것. 아이들에겐 스트레스 1순위가 부모이고 2위가 교사라 하지 않던가. 교사가 먼저 편안하게 다가가 공감하며 마음을 버리게 하니 아이들이 밝아지는 것이 눈에 훤히 보였다.
아이들이 차분해지고 집중력이 높아져 학업 성취도가 올라갔고 공격성이 줄어들었다. 잘 다투지 않고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으로 바뀌었고, 자기 일을 스스로 알아서 하는 아이들이 되어가고 있었다.
몇 년 전 일이다. 우울증에 인터넷 중독이었던 기훈이는 한번 화가 나면 자기 감정을 조절 못 하고 씩씩대며, 어른이고 교사고 안 보이던 아이였다. 한번은 친구와 싸워 상담하려고 남으라 했더니, 씩씩거리고 소리 지르다 가방도 놓고 집으로 가버렸다. 예전 같으면 혼내거나 손바닥 매질을 했을 터였다.
하지만 나는 진심으로 그 아이의 마음속에 있는 울분과 화, 짜증, 열등감을 풀어내도록 도와주고 싶었다. 여러 날에 걸쳐 아이가 마음을 버리도록 유도하자 편안한 마음을 찾았다. 표정도 밝아지고 돌출 행동을 덜 하게 되었다.
아이들을 대하다 보면, 여지없이 부모의 행동 양식을 그대로 반복한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엄마에 대한 집착이 가장 클 시기여서 엄마와 같은 행동을 그대로 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 때문에 고민하고 상담하시는 부모님께 꼭 먼저 마음을 버려보시라고 권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인숙 인천 구산초등학교 교사
청소년의 화와 공격성 감소에 관한 논문
● <마음 비우기 명상이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조현학.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 <마음수련이 신경증적 중학생의 분노와 불안 수준에 미치는 효과> 최경숙. 경성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 <마음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성지도> 곽재용. 초등교육연구 제15집
● <마음수련 청소년 캠프 활동이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석기. 부산교육청 사무관
Go To Top